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환경에서 미생물의 제어 「항균력 분석」 _한국의과학연구원 미생물분석센터

>


<멸균, sterilization> 살아있는 세포와 포자, 그리고 비세포성 입자(바이러스 등) 모두를 대상에서 완전히 파괴 또는 제거하는 과정이다. 멸균된 것에는 살아있는 미생물과 포자, 기타 감염원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소독, disinfectant>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화학약품으로 보통 생물이 아닌 물질에만 사용한다. 완전 멸균은 아니기 때문에 소량의 세균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방부, antisepsis> 살아있는 조직에 있는 미생물을 파괴 또는 억제함으로써 감염 또는 부패를 방지하는 과정이다. 방부제는 병원체를 죽이거나 생장을 억제해 감염을 막는 화학제로 전체 미생물집단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숙주에게도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소독제만큼 강하지는 않다.


화학 치료제는 미생물을 살균하거나 성장을 정균시킨다. 살균제는 병원체를 죽이지만 활성이 농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낮은 농도로는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효과가 표적마다 다를 수 있어 한 종에서는 살균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종에서는 살균제로 작용한다. 정균제는 병원체를 죽이지 않기 때문에 감염 제거는 숙주 자신의 방어에 의존한다. 따라서 숙주의 저항이 너무 약하면 정균제는 별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병원균의 살균 또는 정균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를 항균력 분석 및 검정이라고 한다.


MIC test


Disk test


E-test


Flask test


참고 자료:Biology of Microorganisms, Joanne M. Willey, Linda M. Sherwood, Christopher J. Woolverton, lifescience